[541] 2014. 6. 20

공공칠빵 놀이


요즘 아이들 사이 빠르게 공공칠빵이 인기다남녀 구분 없이 모이면 난리다.

공공칠빵으악

점심시간이면 어김없이 둘러앉아서 신나게 한 판 씩 한다.

샘도 해요!”

에이너희들 샘 때리려고 그러지?”

에이샘도 해요?”

좋다한 판만 한다.”

몇 번씩 나를 또는 내 옆 사람에게 빵을 날린다그럴 때마다 다르지 않고 손을 든다집중 공격이다오히려 옆에 있던 녀석이 틀려 버렸다.

틀린 아이들 등짝이 사정없이 두드린다.

야들아너무 심하게 때린다살살 때리라!”

학교 에어컨도 고장이 나서 더운 오후 내가 체육복으로 갈아입고 오니 아이들이 손뼉을 치며 환호를 보냈다.

왜 그래?”

체육 하는 거 아녜요?”

더워서 체육복으로 갈아입었는데?”

에이선생님 체육 해요?”

체육 안 들었는데?”

그래도 해요?”

체육하고 싶나?”

예에.”

목소리 한 번 우렁차다.

운동장은 너무 땡볕이라서 그렇고체육관에는 이미 다른 반시간이고…… 음 공공칠빵 한 판할까?”

네에.”

책상 밀어내고 남녀끼리 모였다.

공공칠빵 놀이를 모르는 아이가 있어서 가르쳐주면서 한다모두가 기쁜 얼굴이다맞아도 기쁘고 때려고 기쁜 날신났다.

수업 마치기 10분 전까지만 하자고 했다시간을 잘 지켰다.

오늘은 금요일 청소를 간단히 모두 악수하며 인사하고 가는 날이다.

일주일 고생했다.”

오늘 등짝 아팠제?”

공부 열심히 해서 고마워!”

일주일 즐거웠어?”

이렇게 한 마디씩 여러 가지 해주면

 

고맙습니다.”

선생님도 열심히 했어요.”

오늘 재미있었어요.”

선생님도 잘 휴일 잘 쉬세요!”

아이들도 인사말을 건네준다.

 

애들이 일주일 열심히 살았다.^^

시험 끝나면 또 한 번 놀자!

Posted by 참다리
,

[538] 2014.6.20.

사물함과 책상 서랍 다시 정리

한 달에 한번 꼴로 사물함과 책상 서랍을 정리한다평소에도 정리하라는 말을 하지만 한꺼번에 시키지 않는다시험이 기간이 다가오면 먼저 주위 정리 정돈부터 챙겨본다학기 초 가지런히 책과 공책준비물을 잘 정돈이 되었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흐트러지기 시작한다.

몰래 숨긴 우유각종 복사물안내장시험지가 삐져나온다정리가 되지 않고 차곡차곡 모아 두지 않은 것들이 쌓인다그래서 한 달에 한 번 정도는 꼭 다시 정리한다마음가짐을 바르게 하는 첫 단추이기도 한다책상 서랍도 다 꺼내서 다시 처음처럼 정돈한다배운 교과서는 사물함에 배울 교과서는 책상 서랍에 다시 보기 좋게 정리한다.

구석구석 쌓였던 복사물도 버릴 것은 버리고 챙길 것은 끼우거나 붙이도록 한다.

Posted by 참다리
,

[536] 2014.6. 19.

공부 카드 만들기3. 사용하는 법 익히기

공부 카드 만들기를 하고 있다이제 과목별로 구분이 되고 몇 문제씩 만들어지고 있다하루 목표량을 10문제씩 내도록 했다최저 개수다어제까지는 지금까지 모은 학습지시험지 가운데 틀린 것만을 골라 오려 붙였다.

오늘은 여기까지 만든 것을 점검하고 낸 문제를 물어보았다.

작년에 쓴 복습도장을 꺼냈다한 문제마다 밑이나 뒤쪽에 찍어서 복습 확인하는 칸이다맞게 답하면 첫 번째 칸에 동그라미틀리면 세모나 가새표를 한다이런 과정을 내일다음날일주일 뒤시험 전까지 모두 네 번 이상 한다.

공부 카드를 다 만든 아이들은 복습 도장을 찍어서 나에게 가져온다오늘이 사흘째이니까30문제 이상과목별로 붙임 종이로 구분한다.

한두 문제를 물어보고 복습 도장 첫 칸에 표시한다오늘은 내가 점검하지만 앞으로는 스스로 해야 한다그냥 해라고만 던져 놓으면 검사 받기 위한 소비성 점검용 과제로만 여기고 버려지기 쉽다.

사흘 정도는 날마다 한번씩 하나하나 챙겨야 한다어떤 문제를 내는지 살펴봐야 한다간혹 틀린 답을 적은 아이도 있다친구와 견줘보고 점검 한다.

이미 오늘까지 30문제를 다 한 아이도 있고모자란 아이도 있다하루에 10문제씩 내면 일주일이면 두툼해진다이것만 들고 다니면서 되풀이해서 공부하면 된다차 안이나 놀러 갔을 때,잠시 쉴 때 봐도 좋다.

 

학습지에서 오린 문제를 보고 문제 내는 방법도 익힌다문제 푸는 처지에서 내는 처지는 생각과 마음이 달라진다좀 더 신중하고 진지하게 읽고 분석해서 문제를 낼 수밖에 없다그런 신중함과 진지함이 오래 기억된다이런 주기적인 되풀이가 장기 기억으로 자리 잡는다꾸준한 노력의 실천과 습관이 바탕이 깔려야 한다.

 

나 혼자 읽고 답하기도 좋지만친구가 읽어보고 답하기서로 공부 카드 바꾸어서 보기여럿이 돌아가면서 한 문제씩 내고 손들어서 맞추기 따위도 좋다문제 내기가 어려우면 친구 것을 보고 참고해도 좋다생각하고 행동하고 상호작용하면서 익혀가는 즐거움을 함께 느꼈으면 한다.



Posted by 참다리
,

[532] 2014.6.17.

공부 카드 만들기시험지 올려붙이기


1. 공부 카드 형식 확인하기

어제 공부 카드를 만들었다오늘 몇 개 만들었는지 확인을 해보았다하나밖에 만들지 않은 아이도 있다그래서 꼭 확인을 해본다카드 만들기에만 그치고 묵혀 두면 아무 소용이 없다.만들어서 써야 제대로 활용해야 한다.

카드 위쪽에 과목과 단원 제목과 쪽수를 넣도록 했다문제는 글자를 큼지막하게 쓴다.

 

2. 시험지 모아보기

오늘은 그동안 건네준 시험을 모아보았습니다제대로 챙기지 못한 아이는 구석구석 쑤셔져 있다공책과 책가방에 끼여 있기도 하다풀어둔 시험지를 모아서 공부 카드에 붙인다.


3. 틀린 문제만 오려서 붙이기

자기가 풀었던 문제 가운데 틀린 것만 잘라서 카드에 붙이도록 한다오답 공책인 셈이다맞힌 문제는 두 번 보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그래서 카드 형식으로 모아서 되풀이 학습이 되도록 한다.


4. 공부 카드 하루에 10문제씩

카드 문제를 하루에 10씩 만들도록 목표를 정해두었다그냥 되는대로 만들라고 하면 귀찮아서 만들지 않거나 시킬 때만 맞춰주는 식으로 만드는 아이가 있어서 체계적으로 하루 목표를 정했다과목을 여러 가지로 10문제로 한다하루 30분 씩 만든 카드를 보면서 답하면서 되풀이해서 익힌다.

Posted by 참다리
,

[530] 2014.6.16.

공부 카드 만들기

 

기말시험은 예체능까지 시험을 친다이런 것까지 칠 필요가 있을까 회의감이 들지만 이런 논란은 일단 미루어두자.

시험 기간 아이들이 공부하는 모습을 보면 문제지 풀이 외에는 별다른 방법이 없는 듯하다.그것도 한번 풀어보았다고 넘어가버리고 더 이상 보지도 않는다공부 방법이 단순하고 되풀이하려는 마음과 의욕이 없다방법을 배운 적도 기회도 없었을 것이다그래서 이런 기간 때 공부 방법도 함께 익혀 둔다.

작년 자료를 또 활용한다공부 카드 만들기다그동안 모아둔 재활용 종이를 가 네 등분했다구멍을 뚫고 카드 링을 끼우면 된다처음 카드와 마지막 카드는 두꺼운 마분지로 만들었다작년에는 종이 구멍만 뚫어주고 고리종이양은 마음대충 건네주었는데 이번에는 아예 완전한 카드를 만들었다이름만 쓰도록 했다만드는 시간이 한 시간 가량 걸리니까 정작 문제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는 대충 넘어가버렸던 기억이 난다.

문제를 어떻게 낼 것인가 안내 자료도 보이고여러 가지 방법을 알려주었다.

지금은 실과 시간이니까 실과 문제를 만들도록 했다이번 시간만 정확하게 알려주면 나머지 시간에는 알아서 과목별로 만들면 된다여유분의 종이도 구멍을 뚫어 놓고 모아두었다.

 

사회문제내기 안내 카드를 코팅한 게 있다작년에 만들어 두었던 것을 이제도 다시 써먹는다짝끼리 볼 수 있도록 했다앞 쪽에는 문제를 쓰고 그 뒤쪽에 답을 쓰면 된다.

날마다 이 문제를 보고 맞추어보면 재미있다친구끼리 바꾸어서 봐도 좋다어렵고 자주 틀린 것만 빼 모아서 복습해도 좋다.

 

오늘은 첫 시간이니까 문제 내는 방법에 힘을 많이 쓰고 강조했다시험이 끝나면 거둘 것이다어떻게 만들었는지 모아두었다가 2학기 때도 쓰면 된다좋은 문제깔끔하게 만든 문제를 추렸다가 본보기 자료로 활용하면 좋을 것이다.


 땀샘공부카드.hwp


 사회_문제_내기_코팅할_것2.hwp

Posted by 참다리
,

[527] 2014.6.13.

아침 아이들, 뉴스만들기

내가 교실에 오는 시간은 8시쯤이다. 나도 조금 빨리 오거나 늦은 아이가 하나 뿐이다. 그런데 오늘은 교실에서 가니 한 모둠 아이들 전체가 모여 있었다.

, 무슨 일이야?”

뉴스 만들기 하려고요.”

모둠끼리 시간 내기나 맞추기가 힘들어서 아침 일찍 온 모양이다. 어떻게 해서든 발표 하니까 모둠 협동해서 과제를 해결해야한다. 모둠 아이들끼리 제대로 만나지 못하고 눈치만 보고 있다가 두 주일이나 지나버렸다.

언제 할 것인지 기다려주고 기다려준다

Posted by 참다리
,

[508] 2014.6.2.

아침 활동수학 사회 한 문제씩


6월이다이번 달 부터는 아침 칠판에 아이들에게 차례대로 쓸 기회를 주려고 한다.

수학과 사회 한 문제씩 내도록 할 것이다전날 미리 쓰고 가면 된다교과서나 문제집에서 뽑아도 된다자기가 만들어도 된다수학과 사회 공책 맴 뒤쪽부터 쓰고 풀면 된다.

한 달씩 넘어가면서 조금씩 변화를 준다변화의 방향은 아이들 손으로 하도록 기회를 많이 주는 쪽이다지금은 문제 내기로 시작하지만 나중에는 명언이나 다른 내용으로도 발전할 것이다모두 참여하도록 조금씩 바꾸어간다. 2학기에는 되도록 아이들이 수업도 한 번씩 해볼 기회를 준비하고 있다그런 본보기를 보이기 위해서도 이번 1학기 수업은 철저하게 해준다. 6월은 이제 아이들 손으로 거쳐 가는 첫 단계로 들어서는 달이다.

Posted by 참다리
,

[498] 2014.5.26.

아침 시간에 알림


오늘도 어김없이 아침 칠판에 할 거리를 써 놓았다.

평소에는 하고싶은 대로 자유롭지만 교과 시간에 따라 보충하거나 덧붙여 해야 할 일이 있을 때는 챙겨보는 시간이 되기도 한다.

일주일 마다 한 번씩 참나공책(참다운 나를 가꾸는 공책)을 쓴다주로 학습동기나 공부 방법마음 가짐에 때란 정보를 주고소감을 쓰는 공책이다오늘은 지금까지 써온 우리 반 공책 쓰기에 대하여 나름의 소감을 쓰도록 했다.

실과 손바느질은 지난 주에 했던 것을 완성하라는 뜻이고뉴스 만들기도 이번 주에 완성해야 할 일들이라서 써 두었다.

아이들이 방과후에 학원 때문에 모둠 활동이 쉽지 않다짬짬이 시간을 활용해야 한다자주 자주 일러주고 빠뜨리지 않도록 되새겨준다.

Posted by 참다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