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요한 정보를 조사할 때 주의할 점'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4.03.21 [386]국어, 필요한 정보를 조사할 때 주의할 점

[386] 2014.3.20.

 

국어, 필요한 정보를 조사할 때 주의할 점

 

1. 칠판 글쓰기

 

수업 5분 전에 미리 공부할 내용을 써둔다. 교과서 번호대로 써둔다.

체계적으로 번호를 붙이고 공부할 내용을 써 놓는다. 공책에 쓸 부분, 발표할 부분, 교과서에 쓸 부분을 기호 자석으로 붙인다. 붙여 놓으면 듣고 말하기, 자기 경험 말하기, 모둠까리 주고받기, 공책에 쓰기 따위 활동의 흐름이 정리된다.

 

2. 발표시키기

 

이번 시간에는 1번과 3번 활동에 많이 시간을 배당했다.

 

1) 무엇을 조사했나?


공책에 개인별로 조사해본 경험을 쓰게 한다. 공책에 쓴 것을 발표한다는 말을 해준다. 세 아이를 시킨다. 불특정 아동을 시킨다. 차례를 정해서 시키는 것도 있지만 이런 경우 자기 경험을 말하기 때문에 손을 들게 해서 시킨다. 이때는 발표자보다는 앉아서 듣는 아이들이 어떻게 해야 하는가에 중점을 둔다.

앉아 있는 사람은 무엇을 해야 하나요?”

잘 들어야 해요.”

적어야 해요.”

경청해야한다. 듣기만하고 흘려버리지 않도록 공책에 쓴다. 기록하며 듣는다. ‘듣기위한 방법이다. 나도 칠판에 발표한 아이의 내용을 간단하게 적었다. 간추려 적기 때문에 제대로 듣지 못한 아이도 칠판만 보면 받아 적을 수 있다. 오늘은 세 아이 이야기를 들었다.

 

2) 어떤 매체를 써 보았나?



매체에 대한 정확한 의미를 한 번 더 확인한다. 매체의 뜻과 의미를 정확하게 짚어준다.

내가 아는 매체를 한 가지라도 알고 있는 사람은 다 일어나세요.”

거의 대부분이 일어난다. 아마 인터넷이라고 말할 것이다.

이제 한 사람씩 말을 하는데 자기가 생각하는 것과 같으면 따라 앉으면 됩니다. 다른 게 있으면 그대로 서 있으세요.”



여러 가지 의견을 모으는 방법이다. 협동학습 구조에서 따온 방법이다. 같은 의견은 자연스럽게 걸러진다. 일곱 가지가 나왔다. 그 가운데 현장조사가 매체인지 고민을 같이 해보았다. 한 가지가 더 나오지 않아서 되물었다. 끝까지 말하지 않은 것은 라디오다. 아이들 삶 속에 라디오가 이제 점점 사라지고 있는 듯하다. 아이들 발표 내용을 칠판에 쓰고 아이들도 따라 적는다. 칠판과 공책이 함께 가고 있다.

 

3) 조사해서 얻은 정보가 무엇이었나?


  이 문제에 대답으로 새로운 정보요, 새로운 사실요!’라고 답하면 너무 범위가 넓고, 구체적이지 않다. 경험을 떠올릴 필요가 없는 답이다.

앞서 알아본 조사 경험과 매체를 엮어서 말하면 좀 뚜렷하게 말할 수 있다. 무엇을 얻었는지 자세히 말하는 방법도 익히는 셈이다.

케이 팝에 대해서 인터넷과 신문으로 조사했는데 케이 팝의 뜻을 알았습니다.”

야구에 대하여 신문과 백과사전으로 알아봤는데 야구가 시작된 까닭과 역사를 알아보았습니다.”

먼저 발표한 정보를 이럴 때 이용한다. 구체적으로 말한다는 의미를 깨칠 수 있는 기회이다. 발표하는 방법도 된다.

 

3. 전체 참여시키기(은비가 조사한 매체) 내가 쓴 매체 손들기

 

교과서 그림만 봐도 은비가 얻은 정보 매체가 나온다. 따로 아이들에게 시키지 않아도 된다. 때로는 공부가 느린 아이들을 시키기도 한다. 앞부분에서 이야기가 되어서 확인하는 차원에서 말한다. 또한 이 네 가지 매체를 써본 사람 손을 들게 한다. 자기 의견을 반영한다. 손든 사람 수를 적었다. 백과사전과 신문이 어느 정도 나을게 눈여겨 보인다. 아이들의 정보 활용 수준도 어느 정도 가늠이 된다.

 

4. 학습 목표 정리 (5분 정리, 한 문장으로)

 

마무리 정리 단계다. 교과서에서도 주의할 점이 글로서 끼워 넣으면 되게 되어 있다. 문맥만 잘 파악하면 금방 찾는다.

 

1) 개인시키기

 


교과서 있기는 해도 공책에 쓴다. 교과서는 복습할 때 문제집, 공책은 답지가 되도록 한다. 중요한 핵심 낱말만 비우고 쓴다. 이번 주는 사회 시간에 마인드맵을 하고 있으니 핵심 낱말을 찾는 연습이 어느 교과나 자주 익혀야 한다. 문장을 그대로 다 써줄 수도 있지만 핵심 낱말을 자꾸 되새기도록 네모칸 채우기 형식을 쓴다.

늘 사진 이름표를 쓰기 때문에 빨리 차례가 되돌아온다.

 

2) 정리 기록하기



마무리 5분 정리 시간이다. 공책 맨 밑에 오늘의 학습 목표인 분류할 때 주의할 점을 한 문장으로 쓰도록 한다. 이곳은 소감, 느낌 같은 것도 평소에 쓰는 자리다. 학습목표로 나온 주의할 점은 네 가지다. 네 가지 핵심 낱말을 엮어서 한 문장으로 쓰는 것이다. 그것을 말로 하며 된다.


 

3) 짝끼리 말하기

한 문장으로 5분 정리한 것을 짝끼리 공책을 보지 않고 말하도록 연습한다. 오늘은 시간이 빠듯하여 몇몇 아이를 일으켜 세워서 시키지 않았지만 되도록 몇 명이라도 시켜야 긴장을 늦추지 않는다.(^^) 저번 사회 시간에는 마무리 문장 말하기를 발표시켰다. 그래서 오늘 마무리는 누가 발표할지 모르기 때문에 마음 준비를 하고 연습했다.

 

발표는 정해진 차례에 따라 시키거나 언제 누가 걸릴지 모르게 시키는 법이 있다. 언제 누가 걸릴지 모르니 긴장을 늦출 수 없다. 시키기 전에 짝 끼리 모둠 끼리 연습할 시간을 준다. 이런 연습이 모두가 참여하는 학습 시간이 된다. 발표는 그것을 위한 하나의 장치인 셈이다.

Posted by 참다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