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자기 대교를 들어갔다. 4학년 국어 10단원 마지막 부분이다. 아이들에게 재미있었던 일을 찾거나 생각해오라고 담임이 준비해두셨다. 아이들과 이야기를 끌어내서 느낌과 생각을 만화로 표현하는 활동이다. 두 차시로 아이들과 표현할 주제와 내용을 찾아내고 떠오른 느낌과 생각을 붙잡아 만화로 표현하게 한다.

 

1. 수업 준비, 성취기준 확인하기

아이들과 수업한 내용을 담임 선생님께 듣고 교실에서 가장 먼저 성취기준을 찾았다.

[405-04] 작품을 듣거나 읽거나 보고 떠오른 느낌과 생각을 다양하게 표현한다.

작품을 듣거나 읽거나 본 활동은 했을 것이고, 재미있었던 일을 생각해보라고 한 것을 물어서 이번 시간에 풀어내면 된다. 그때 느낌과 생각을 다양하게 표현하는 일이다. 표현 방법은 만화다.

2. 칠판 쓰기와 활동 설명

칠판에 성취기준을 먼저 썼다. 다음으로 공부할 문제, 활동 거리를 정해 두었다. 교과서 차례대로 활동1, 활동2, 활동3을 잡았다.

아이들 이야기를 듣기에 앞서 내(교사) 이야기를 꺼냈다. [활동2. 이야기 차례를 정해봐요]에서 내가 겪은 일을 네 가지 장면으로 풀었다.

아침에 더워서 일어난 일(짜증), 1층 창문을 여니까 더운 바람이 확 몰려와서 더 더웠던 것(놀람), 들고양이가 찾아온 것(반가움), 새끼 고양이까지 와서 먹이 준 것(귀여움)으로 이어지는 이야기다. 그때 내 느낌과 생각을 칠판에 써가면서 말해주었다.

말한 김에 [활동3]에 바로 이어져 대충 그림을 그리며 풀었다. 교과서 이야기에서 감정 표현 그림이나 얼굴색, 배경색 따위로 느낌과 생각을 표현한 부분도 다시 살피게 했다.

이렇게 칠판에 써가면서 오늘 활동과 내용을 푸는 방법을 알렸다.

 

3. 활동

1) 자기 경험 이야기 말하기(듣기)

[활동1, 활동2]에서 아이들이 생각한 재미있었던 일을 쓰면 된다. 만화를 그리기 위한 주제 설정과 내용을 정하는 셈이다. 준비(생각)해 온 사람 손을 들어보라고 하니까 반 정도였다. 손 안 든 아이는 생각이 안 났거나 지금 생각해보겠다고 한다. 모두 한마디씩 할 테니 생각 안 나면 친구들 이야기를 잘 들어보라고 했다. 주로 이야기 주제와 제목 정도로 말하고 네 장면별로 느낌과 생각을 말하지 못했다. 어떤 느낌, 어떤 생각이 드는지 더 말을 풀어내어야 했다.

 

2) 자기 경험 이야기 쓰기

그 주제도 생각나지 않았으면 들은 친구 이야기에서 깊이 생각해보라고 했다. 다 한 번씩 말하고 [활동1, 활동2] 형식에 말한 것을 쓰게 했다. 무엇 무엇을 했다는 것에서 무엇을 하니 어떤 기분, 느낌, 생각이 들었다는 것으로 풀게 했다. 아이들 자리를 돌아다니며 느낌과 생각을 드러나도록 강조하고 문장도 봐주었다. 생각이 날 때까지 자꾸 말을 시켰다.

 

3) 멈추고 돌아보기 - 다시 쓰기

, 잠시 멈추세요. 모두 일어나 다른 친구들 것도 한 번 보세요!”

다 쓰지 못했지만, 친구들 것을 한 번 보도록 했다. 아직 덜 생각 난 아이, 느낌과 생각까지 감을 잡는데 늦은 아이들은 또래가 쓴 것을 보고 참고하라는 뜻이다. 아이들 움직임을 보니 몇몇 아이한테 몰리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다시 제자리로 돌아가 덧붙일 부분, 고칠 부분, 바꾸었으면 하는 부분을 넣어서 내용을 다듬을 수 있도록 했다.

 

4) 자기 경험 이야기 만화로 그리기

할 말과 이야기가 정리하고 만화로 나타낼 차례다. 나타낼 내용(느낌과 생각)을 만화로 그려야 한다. 밑그림을 그리는 셈이다. 3~5개 정도 장면이 되도록 했다. 교과서에는 네 장면이 나온다. 교과서 빈칸에 밑그림을 그린다는 마음으로 그리도록 했다. 담임 선생님이 따로 도화지를 준비해두셨다.

 

5) 성취기준 되새기기

, 모두 다시 칠판을 볼까요? 오늘 성취기준을 읽어봅시다.”

작품을 듣거나 읽어나 보고 떠오른 느낌생각을 다양하게 표현한다!”

오늘은 재미있는 이야기(떠오른)를 느낌과 생각을 만화로 표현합니다. ‘느낌생각을 만화로 표현하면 됩니다. 여러분에 그리는 만화는 어떤 점이 나타나야 할까요?”

느낌생각이요!”

그래요. 느낌과 생각이 잘 드러나게 해요.”

 

6) 멈추고 돌아보기- 다시 그리기(교과서)

선생님, 이번에도 돌아볼 거죠?”

아까 친구 경험(재미있는 이야기)을 말하고 쓸 때 전체 한 번 둘러보기를 했더니 또 한 번 더 해보면 좋겠다는 마음이다.

그래, 또 그래 볼까?”

네에~”

아직도 감이 잡히지 않은 아이들에게 또 기회를 줄 수 있다.

또 한 번 더 둘러보고 그림을 완성하게 했다. 이번 시간에 만화가 다 완성되지 않아도 적어도 느낌생각은 뚜렷하고 잡아두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만화를 그리고 색을 칠하는 것은 좀 늦어도 괜찮아도 그리고자 하는 주제, 내용(느낌과 생각)은 정확하게 잡아두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해서다.

 

7) 도화지에 그리기

밑그림을 마무리한 아이들 도화지를 가지고 가서 그리게 했다. 그런데 여전히 어떤 주제와 내용을 잡아야 할지 모르는 애가 몇몇 있어서 도화지를 건네주면서 만화를 먼저 그리고 주제(제목)를 찾아보라고 했다. 생각이 안 나는 건 어쩔 수 있나, 그리다 보면 또 생각날지 모른다.

4. 성취기준 다시 말하고 마무리하기

마칠 시각쯤에 또 성취기준을 되새겨 보게 했다. 오늘 공부할 내용과 주제를 한 번 더 알게 했다. 오늘 다 완성 못 했어도 나타내려는 주제와 느낌, 생각은 정확하게 잡아두어야 다음 시간 마무리 활동, 서로 봐주기(댓글 달기)가 제대로 될 것이라고 말해주었다.

Posted by 참다리
,

[664] 2014.12.12.

실과일과 직업의 의미와 중요성 알기

진로에 대한 공부를 한다일과 직업의 중요성이다.

여섯 가지 일과 직업의 중요성이 나온다교과서에 그림으로 잘 정리되어 있다여섯 명 아이를 시켜서 쓰게 하고나서 하나씩 설명해 나갔다자아실현의 의미를 이해시키는데 시간이 필요했다까다롭고 추상적철학적이라서 아이들이 제대로 이해한 것인지 모르겠다.

두 번째 여러 가지 직업에 대해서는 모둠 토의를 해서 알아보기로 했다여섯 모둠으로 나눠 분류 기준에 따라 직업의 종류를 써보고 점검해 보았다.

일과 직업의 중요성 가운데 자기가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에 손을 들게 해 보았다경제적 보상이 가장 많다사회봉사와 자아실현이 아무도 없었다서운하기도 씁쓸하기도 했다.

갖고 싶은 직업에는 문화예술언론 부분이다요즘 아이들 모습생각을 엿볼 수 있다가치를 아무리 강조했어도 경제와 미디어 매체에 크게 휘둘리는 것 같다.

중요성이나 직업에 대한 단순한 지식만 살펴보는데 거치지 않고 자기 생각친구들 생각을 알아보면 또 다른 재미와 관심생각할 거리를 갖게 한다

Posted by 참다리
,

[663] 2014.12.10.

문집에 넣을 시화 만들기

오늘은 미술 시간에 문집에 넣을 시화 만들기를 했다해마다 하는 우리 반 학급 행사이기도 하다시를 한 편씩 뽑아 저번에 경남도민일보에 낸 시를 복사해 두었다한 편 미리 뽑아두어서 시 지도 시간은 번 셈이다.

작년에도 했던 과정을 A3 종이에 칼라 인쇄해서 과정을 칠판에 붙여두었다.

연필로 쓰고 진하게 볼펜이나 사인펜으로 쓰고그리고연필 자국을 지우는 과정이다.

 

1) 받침판 준비

밑에 깔아서 쓸 격자 판을 코팅해서 만들었다작년에는 코팅하지 않고 만들었다밑판 위에 종이를 대면 격자 모양이 보인다제목이름본문을 쓸 수 있도록 모양이 있으니 흐트러지지 않게 가지런히 글을 쓸 수 있다.

 

연필 글은 나중에 지우개로 지우니까 너무 진하게 쓰지 않는다글자 크기나 격자에 꽉 차도록 한다.


2) 진하게 쓰고연필 글씨 지우기

연필로 쓴 글을 사인펜이나 볼펜과 같은 것으로 진하게 뚜렷하게 쓰게 한다연필만으로 쓴 것은 스캔하면 희미하게 보이기도 하다격자에 맞춰 쓴 것은 자간이 일정해서 보기에도 안정적이다다 쓴 글에 연필로 쓴 글을 이제 지우면 된다.


3) 그림 그리기

그림 그릴 차례다먼저 처음 시 자료에 그림을 그린다새로 옮겨 쓴 종이에는 실수하면 다시 써야하기 때문이다준비한 시 자료에 그림을 뚜렷하게 그리고 그 위에 대로 또 베끼거나 보고 따라 그린다이때도 먼저 연필로 먼저 그리기를 한다.

글씨 쓰는 방법과 같이 진하게 그리고연필 자국은 지운다.


4) 완성정리스캔해서 모으기

완성한 작품은 파일로 끼워 놓는다글 쓰고 그림 그리면서 구겨진 부분이 있어서 이렇게 끼워서 두꺼운 책을 덮어두면 펴진다그런 다음 스캔하면 깔끔하게 나온다.


해마다 시화 만들기를 하면서 여러 가지 요령이 생겼다올해는 한두 시간 만에 금방 해결되었다칠판에 붙여둔 과정과 밑판에 깔 격자 판이 효과를 본 것 같다그리고 앞에 했던 아이들을 작품도 영상으로 보여주면서 어떻게 만드는 것인지 확실한 감을 잡은 것도 도움이 되었다


 시화_만들기.pptx




0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


'수업일기(과목별) > 학급살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661] 시 쓰기와 대회 참여  (0) 2014.12.09
[658] 공부 카드로 시험공부  (0) 2014.12.07
[645] 농업인의 날, 가래떡 나눠 먹기  (0) 2014.11.11
[627]수학여행과 정리  (0) 2014.10.24
[626] 시 읽기  (0) 2014.10.24
Posted by 참다리
,

[662] 2014.11.20.

국어효과적인 공부법 여덟 가지


페이스북에서 무슨 무슨 몇 가지라는 제목 기사를 가끔 본다오래 읽어보고 간직할만한 글이 자주 눈에 띈다다음에 써야겠다 싶어 모아두고 있는데 이번 수업에 함께 썼으면 하는 글이 하나 생겼다.

학습목표인 목적과 의도를 가지고 글 쓰기에 앞서 읽을거리로 쓸만하다. ‘효과적인 공부법 여덟 가지라는 제목이다목적과 의도를 찾는 실습인 셈이다기말고사도 몇 주 남지 않아서 적당한 시기다기사를 가끔 복사해서 읽으면 재미와 긴장을 준다.

글 읽는 기준을 칠판에 몇 가지 적어두었다.

잘 실천 안 되는 것과 그 까닭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 따위로 구분해서 자기 삶을 되돌아본다글 쓸 거리가 찾아보는 생각을 먼저 한다.

글쓰기 공책에 쓰고 나중에 누리집에도 올릴 것이다학급문집에서도 실을 수 있다.

교과서 글로만 학습목표 도달에만 그칠게 아니라 자신의 삶에도 무엇인가 변화가 있을 때 재미와 관심이 더한 법이다배우는 즐거움은 자신의 변화 과정을 느낄 때가 아닐까?

Posted by 참다리
,

[661] 2014.11.19.

시 쓰기와 대회 참여

그동안 시 쓴 것을 가려 뽑아 경남도민일보 글쓰기 잔치에 글을 냈다.

시 공책에 틈틈이 써온 시 가운데 한 편을 골라서 원고지에 썼다아이들이 쓴 시 는 그때그때 스마트폰으로 스캔해서 모아두었다.

원고지 쓰는 법도 한 장씩 복사해 두었다.

시 한 편씩 인쇄해서 다시 읽어보고 고친다그런 다음 다시 검사받고 원고지에 쓴다원고지 쓸 일이 이런 기회 아니면 거의 없다.

완성한 시는 우리 지역 신문이 도민일보에서 해마다 열리는 글쓰기 큰 잔치에 보냈다아이들 삶을 담긴 좋은 글을 뽑아 다듬어 참여한다이런 과정도 아이들한테 알려주고 싶었다.


0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


Posted by 참다리
,

[660] 2014.12.4.

국어, 6. 생각과 논리선거 유세하기

주장과 근거의 적절성을 판단하는 공부로 선거 유세가 나온다. 3월이나 9월에 학기 초에 나왔으면 하는 마음이다학급봉사 위원 뽑을 시기에 해볼 만 하지만 주제가 다르니 그렇다본보기 글만 보면 시기 조정이 필요한데 말이다교과 재구성을 할 때 이 부분을 챙겨봐야 한다현장에서 바로 현실이 되는 환경이 바로 공부가 되면 훨씬 아이들과 교사에 모두에게 수월할 것인데 아쉽다.


그래도 직접 가상의 투표를 해보도록 구성이 되어 있다그러기에 앞서 적절할 주장과 근거를 펼칠 수 있도록 직접 선거 유세를 써보는 것이 최종 중심 활동이다.

관련 영상을 보면서 주장과 근거의 판단 기준을 먼저 배운다실천가능한지가치 있고 중요한지믿을 만한지이치에 맞고 옳은지 따져보는 기준이다이런 기준은 꼭 유세 뿐 아니다우리 삶에서도 말하고 글 쓰고 하면서 가져야한 지식이기도 하다실제로 해보면서 익혀야 통한다유세도 해보고글도 써봐야 한다.


둘째 시간은 선거유세 영상을 보고 적절한지 평가해본다아직은 유세 글을 쓰지 않고 있다교과서는 기준을 찾고그 기준으로 평가해보고직접 해보는 과정으로 이어져 있다거의 대부분의 교과서 체계가 이렇다직접 해보고 원인을 찾아가면서 기준을 익히고 분석하고 다시 쓸 수도 있다그럴 여유가 없기도 하고이런 과정을 거쳐서 방법을 익혔다고 해도 막상 유세를 써보라고 하면서 생각하는데도 시간이 걸린다다른 유세를 찾아보고 조사해서 참고할 만한 시간과 기회가 주어지지 않는다.

지금까지 살면서 보고 들은 수준에 머문 생각과 글만 나온다아이들은 그런 부분이 힘들다시간 여유는 없는데 기분과 방법만 알려주고 좋은 글을 바라서는 안 될 일이다.

단원 학습 목표가 주장과 근거의 적절성을 판단하기까지니까 여기까지만 잡고 알아버리는 입만 살아버리는 꼴이 되지 않을까 싶다제대로 자기 글을 써보아야 하는데 남의 글을 보고 기준에 따라 평가하는 것으로만 머물기 쉽다물론 교과서에도 유세 글을 써보고 서로 평가 판단해보는 과정이 있다이 과정이 길고 피드백해서 챙겨보아야 제대로 유세도기준도 알 것이 아닌가.

한 번 과정을 거쳤다고 아는 것은 아니다배운 것이다배우고 나서는 익힐 단계가 있다배울 학익힐 습이라 했다우리나라 교과 과정은 배우게 하는 데 많이 치우쳐 있는 듯하다익힐 여유와 방법시간이 주어지지 않다교사가 이런 부분을 꾸리고 재구성해야하는 몫으로 돌아오는데 강요할 부분은 아니다열정과 도전이 필요하다.




Posted by 참다리
,

[659] 2014.12.3.

미술색 그림 표현하기

미술 색으로 표현하기는 우리나라 전통 그림 표현 과정을 겪어본다화선지에 바탕색을 칠하는 게 색다른 방법이다밑그림을 미리 설명해서 집에서 그려 오도록 했다.


바탕색을 칠하도록 넓은 평붓과 서진먹지물감을 준비했다학교 준비물로 챙겨봤는데 평붓이 늦게 도착해서 보통 붓으로 했다물감은 포스터칼라 물감으로 흰색과 노란 색 한 통씩 준비했다흰색은 모둠별로 여섯 번을 짜주니 다 쓰였다노란색은 조금씩 짜주었으니 많이 남았다동학년 여섯 반에 흰색은 반별 한 개씩노랑을 전체 두 개로도 충분했다.


평붓과 보통 붓을 쓰는데는 시간 차이가 크다바탕색만 꼬박 한 차시 거렸다말리는 시간도 만만치 않다.

바탕색이 마르면먹지를 대고 밑그림을 따라 그린다포스터물감이 완전히 마르지 않아서 먹지에 그대로 베껴 나왔다수채 물감으로 해야 했었나좀 더 말리고 한 번 더 하니 희미하게 베껴져 나왔다베껴져 나오는 선을 따라 연하게 색칠하고 덧칠해 나간다.


밑그림 준비할 때 우리 전통 미술이라는 주제를 생각하고 챙겨보라고 했다그냥 아무거나 준비하라고 하면만화 영화 캐릭터나 물건 같은 것으로 그려지기도 한다주제가 무엇인지 늘 생각하면서 중심을 잡아서 준비해야 한다.

 

0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


Posted by 참다리
,

[658] 2014.12.2.

공부 카드로 시험공부

기말 고사 시험 기간이다마지막 시험이기도 하다. 1학기에도와 같이 공부 카드를 만들고 있다날마다 10장씩 시험 전까지 100장 정도를 만들 수 있다한꺼번에 몰아서 하지 않고 꾸준히 하루하루 만들어서 되풀이해서 공부할 수 있다.

틈나는 대로 함께 공부할 수 있다서로 자기 카드로 문제 내기도 한다틀리면 땅콩 맞기도 한다암기가 필요한 내용은 카드로 만들어서 날마다 자주 보도록 한다



Posted by 참다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