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아라

시 쓰기 삶 쓰기 2014. 11. 8. 22:45

좋아라 

난 이런 말이 
듣기 좋아 

좋구나 
좋으니 
좋아해 
좋다 애
좋은 애 
좋아좋아

그래서 
내 이름 
조아라

'시 쓰기 삶 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풍  (1) 2014.11.08
멈추지 말고 가라  (1) 2014.11.08
잠이 오지 않는 밤  (0) 2014.11.08
우리  (0) 2014.11.08
사회시간  (0) 2014.11.08
Posted by 참다리
,

잠이 오지 않는 밤 

눈을 
감으나 뜨나 
똑같은 밤 

가만히 누워 
눈길 모으면 
하얀 점들이 
바글바글 뭉쳐 
멈춰 보려해도 
달아나는 뭉치 

밤하늘 별보다 
더 촘촘하게 
엉겨 붙은 별밭 

또 다른 
내 안에 우주 

오늘밤은 
별밭에 잠든다. 

'시 쓰기 삶 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멈추지 말고 가라  (1) 2014.11.08
좋아라  (0) 2014.11.08
우리  (0) 2014.11.08
사회시간  (0) 2014.11.08
곶감이 되기까지  (0) 2014.11.08
Posted by 참다리
,

우리

시 쓰기 삶 쓰기 2014. 11. 8. 22:44

우리 

이름 앞에 
'우리'를 붙여 부르면 
다시 들립니다. 

우리 학교 
우리 집 
우리 엄마,아빠 
우리 동생 

친구들이 
선생님이 
동네 사람들이 
우리를 붙여 
내 이름 부르면 
따스한 울림이 
마음 깊숙히 들어와 
같은 편이 된 것처럼 
한걸음 더 붙습니다. 

우리 
사람들

'시 쓰기 삶 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좋아라  (0) 2014.11.08
잠이 오지 않는 밤  (0) 2014.11.08
사회시간  (0) 2014.11.08
곶감이 되기까지  (0) 2014.11.08
산이 물에게  (0) 2014.11.08
Posted by 참다리
,

사회시간

시 쓰기 삶 쓰기 2014. 11. 8. 22:43

사회시간 

귤껍질에 검정펜으로 
세계지도 그리고 
꼭지를 중심으로 
가지런히 칼금내서 편다. 
양날톱 처럼 펼치면 
펼친 세계지도가 된다. 

쪼개서 펼친 지도는 
양극으로 갈수록 
사이가 떨어져 
실제 땅보다 넓어 보인다. 

다시 껍질을 
둥글게 한데 모으면 
입체 구가 된다. 

모두 가깝게 이어져 
함께 사는 
지구가 된다. 

'시 쓰기 삶 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잠이 오지 않는 밤  (0) 2014.11.08
우리  (0) 2014.11.08
곶감이 되기까지  (0) 2014.11.08
산이 물에게  (0) 2014.11.08
걱정  (0) 2014.10.19
Posted by 참다리
,

곶감이 되기까지 

감 따기 
감 꼭지 손질 
감 깎기 
감 소독하기 
감 매달기 
감 말리기 

아침 저녁으로 
비 막고 
찬바람 맞으며 
한 달 보살피기 

곶감 걷기 
곶감 고르기 
곶감 상자에 담기 

곶감이 되기까지 
손이 
몇 번 갈까? 

'시 쓰기 삶 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  (0) 2014.11.08
사회시간  (0) 2014.11.08
산이 물에게  (0) 2014.11.08
걱정  (0) 2014.10.19
등산  (0) 2014.10.19
Posted by 참다리
,

산이 물에게 

물방울이 모여 
물줄기가 모여 
강을 이룬다. 

모일수록 세차서 
박힌 돌멩이를 흔들어 밀어낸다. 
낮은 곳으로 쏟아지는 물살에 
또다시 크게 부딪혀 
물안개를 이룬다. 

강폭이 넓어져 
고인 웅덩이까지 
휘감아 뭉쳐 간다. 

부딪혀 
부딪히고 
부셔질수록 
그 맑음은 더 해서 
결국 평온한 바다가 된다. 

흐른다 
부딪혀 간다 
뭉친다 

바다를 꿈꾸지 않아도 
우리는 바다로 간다. 
바다에서 만나리라. 

부딪힐수록 
그 맑음은 더 하리라.
부딪힐수록
더 크게 뭉쳐지리라.

'시 쓰기 삶 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시간  (0) 2014.11.08
곶감이 되기까지  (0) 2014.11.08
걱정  (0) 2014.10.19
등산  (0) 2014.10.19
김치와 사람  (0) 2014.10.19
Posted by 참다리
,

[641] 2014.11.7.

실과동물이 인간에게 주는 도움 찾기


책을 덮으세요.”

선생님이 교과서 그림을 준비했습니다오늘은 그림만 보고 동물이 우리 인간에게 주는 도움을 찾아봅시다모둠별로 의논해서 칠판에 써주세요.”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네 가지이니까 한 사람씩 맡아서 하면 안 됩니다또 한 사람이 먼저 의견 내면 그것을 그대로 대표 의견으로 삼아도 안 됩니다모둠 아이들 말을 모두 듣고 알맞은 의견을 정하세요다른 사람 생각을 무조건 따르거나 무시해서는 안 됩니다.”

교과서를 펼치면 동물들이 인간에게 주는 도움이 잘 정리되어 있다교과서만 보고 공책에 정리해도 된다그렇게 하면 아무 생각이 없어진다호기심도그래서 거꾸로 풀어 보았다충분히 생각할 기회를 갖기 위해서이다교과서 그림만 사진으로 찍어 인쇄했다.

칠판에 붙여 두었다칠판에 붙여 주고 보니까 네 그림을 한 장에 모아서 모둠별로 한 장 씩 볼 수 있도록 했으면 하는 아쉬움도 생겼다멀리 앉아 있는 아이들이 보이지 않아서 앞에 나와서 보기도 했다.

의논해서 정해진 의견이 나온다칠판에 쓰인 글을 보니 뜻을 제대로 전달할 말이 생겼다닭 그림을 보고 달걀을 준다는 말이 나온다여기서는 닭은 상징의 의미다동물을 대표하는 상징이다모든 동물이 다 달걀을 주지는 않는다그래서 닭으로 보지 말고 일반 동물이라 여기고 답하도록 했다장애인 보조견 그림도 장애인을 돕는다는 의견만 나온다이것 말고도 다른 의견을 내도록 했다.

이렇게 생각의 범위를 알려주어도 여전히 달걀이 준다는 의견도 나왔다다 쓰고 나서 교과서를 보고 맞추어 본다칠판에도 써 놓았다써 놓은 의견과 어떻게 다르고 의미가 비슷한지 맞추어 보았다.

경제적 이익을 준다는 개념을 찾지 못했다아이들이 쓴 의견은 첫 번째 말인 영양과 생활용품에 어울리는 말이다다른 의견은 의미가 다 비슷했다.

마지막에 다양한 도움을 준다를 부분에는 예를 든 그림인 시각장애인 말도 다른 도움이 무엇이 있냐고 되물었다.

경마장 경기사냥할 때실험용썰매나 마차 끌 때마약 탐지견 역할 때가 나왔다여러 가지가 나왔다그래서 0다양한 도움을 준다.

이렇게 마무리 정리했다공책에는 자기 개인의견모둠 의견책에 쓰인 의견을 세 가지를 쓰면 된다공책도 살펴보았다.

Posted by 참다리
,

[641] 2014.11.7.

실과, 동물이 인간에게 주는 도움 찾기


책을 덮으세요.”

선생님이 교과서 그림을 준비했습니다. 오늘은 그림만 보고 동물이 우리 인간에게 주는 도움을 찾아봅시다. 모둠별로 의논해서 칠판에 써주세요.”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네 가지이니까 한 사람씩 맡아서 하면 안 됩니다. 또 한 사람이 먼저 의견 내면 그것을 그대로 대표 의견으로 삼아도 안 됩니다. 모둠 아이들 말을 모두 듣고 알맞은 의견을 정하세요. 다른 사람 생각을 무조건 따르거나 무시해서는 안 됩니다.”

교과서를 펼치면 동물들이 인간에게 주는 도움이 잘 정리되어 있다. 교과서만 보고 공책에 정리해도 된다. 그렇게 하면 아무 생각이 없어진다. 호기심도. 그래서 거꾸로 풀어 보았다. 충분히 생각할 기회를 갖기 위해서이다. 교과서 그림만 사진으로 찍어 인쇄했다.

칠판에 붙여 두었다. 칠판에 붙여 주고 보니까 네 그림을 한 장에 모아서 모둠별로 한 장 씩 볼 수 있도록 했으면 하는 아쉬움도 생겼다. 멀리 앉아 있는 아이들이 보이지 않아서 앞에 나와서 보기도 했다.

의논해서 정해진 의견이 나온다. 칠판에 쓰인 글을 보니 뜻을 제대로 전달할 말이 생겼다. 닭 그림을 보고 달걀을 준다는 말이 나온다. 여기서는 닭은 상징의 의미다. 동물을 대표하는 상징이다. 모든 동물이 다 달걀을 주지는 않는다. 그래서 닭으로 보지 말고 일반 동물이라 여기고 답하도록 했다. 장애인 보조견 그림도 장애인을 돕는다는 의견만 나온다. 이것 말고도 다른 의견을 내도록 했다.

이렇게 생각의 범위를 알려주어도 여전히 달걀이 준다는 의견도 나왔다. 다 쓰고 나서 교과서를 보고 맞추어 본다. 칠판에도 써 놓았다. 써 놓은 의견과 어떻게 다르고 의미가 비슷한지 맞추어 보았다.

경제적 이익을 준다는 개념을 찾지 못했다. 아이들이 쓴 의견은 첫 번째 말인 영양과 생활용품에 어울리는 말이다. 다른 의견은 의미가 다 비슷했다.

마지막에 다양한 도움을 준다를 부분에는 예를 든 그림인 시각장애인 말도 다른 도움이 무엇이 있냐고 되물었다.

경마장 경기, 사냥할 때, 실험용, 썰매나 마차 끌 때, 마약 탐지견 역할 때가 나왔다. 여러 가지가 나왔다. 그래서 0다양한 도움을 준다.

이렇게 마무리 정리했다. 공책에는 자기 개인의견, 모둠 의견, 책에 쓰인 의견을 세 가지를 쓰면 된다. 공책도 살펴보았다.

Posted by 참다리
,